I. SLE의 증상
■ SLE의 전신증상
- 피로, 발열, 식욕부진, 체중감소
■ SLE의 근골격계 증상
● 관절염/관절통증 : symmetric,migratory,polyarticular
- 여러 관절에서 발생가능 : PIP, MCP joint, wrist, knee 등
- 짧은 조조강직 시간, 이동성 관절통증
- 골미란(erosion), 관절변형, 관절액 염증소견은 없거나 미미함.
● 근육통, 근력약화
■ SLE의 피부증상
● ACLE(acute cutaneous LE)
- malar rash: 나비모양의 코상부 대칭성 발진
- 광과민성 발진, TEN(toxic epidermal necrolysis), maculopapular rash
● SCLE(subacute cutaneous LE)
- 인설홍반, 환상홍반
● CCLE(chronic cutaneous LE)
- discoid rash : 경계는 명확하며 융기, 비늘이 있음
- 탈모
- 궤양 : 구강, 코, 항문, 생식기에 존재
■ SLE의 혈액 이상
● Anemia (m/c)
- ACD(anemia of chronic disease, m/c) : Normochoromic 빈혈
- IDA(iron deficiency anemia)
- Hemolytic anemia : AHIA(자가면역빈혈_DAT(+)_구상적혈구), MAHA, TMA, TTP (분혈적혈구)
● Leukopenia : Lymphopenia 인경우가 많음
● Thrombocytopenia
● Lymphadenopathy, splenomegaly
■ SLE의 신경계 이상
● CNS : 인지 장애, 발작, 정신병, 이상운동장애, 척수염, 수막염
■ SLE의 심혈관계/호흡기계 이상
● 심장 : Pericarditis, cardiac effusion, myocarditis ...
● 혈관 : 동맥경화성 혈관폐쇄, 레이노현상, 혈전색전증 (항 인지질 항체 관련)
● 폐 : pleuritis, pleural effusion, pneumonitis, interstitial fibrosis, intraalveolar hemorrage (폐혈관염)
■ SLE의 신장증상
● 단백뇨(m/c), 혈뇨, 신기능저하, Hypertension
● 감염/심혈관질환/신장 질환 → SLE의 주요 사망 원인
■ 기타 SLE의 증상
● 위장관계 : 연하곤란, 심와부통증, 구역, 구토, 식욕부진, 설사 등
● 눈: 안구 건조증, retinal vasculopathy
II.SLE의 진단과 자가항체
■ SLE 관련 자가항체
자가항체의 종류
|
의미
|
ANA(anti-nuclear) Ab
|
|
anti-dsDNA Ab
|
|
anti-Sm Ab
|
|
anti - Ro (SS-A) Ab
|
|
anti- La (SS-B) Ab
|
|
anti-histone Ab
|
|
anti-phospholipid Ab
|
|
anti-U1 RNP Ab
|
|
anti-neuronal Ab
|
|
anti-ribosomal P Ab
|
|
anti-erythrocyte Ab
|
|
anti-platelet Ab
|
|
RF(류마티스 인자)
|
|
♣ SLE 질병 활성도
1] Anti - ds DNA Ab 증가
2] 보체(C3, C4, CH50)의 감소
3] anti -C1q Ab 증가
■ SLE의 진단기준
● 1997 ACR 진단 기준
- 11개중 4개 이상 해당될 경우 진단 가능
- 'DOPAMINE RASH'
Discoid rash
Oral ulcers
Photosensitivity
Arthritis
Malar rash
Immunological (자가항체 : Ro/La/Sm/dsDNA)
Neurological
ESR ↑
Renal
ANA 양성
Serositis(흉막염, 심막염)
Haematological (혈구감소)
● 2019 EULAR/ACR 기준
- 각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두고, 총점 10점이 넘을 경우 진단
- 보체 단백질에 대한 평가추가, CNS에 대한 평가 보완
III. SLE의 치료
■ SLE의 관리 및 원칙
- 자외선 노출 방지 및 자외선 차단제 이용
- 경구피임약, sulfonamide, penicilin X
- 백신 접종
- 무증상 자가항체(+) 환자는 약물치료 필요 X
■ mild SLE 의 치료
● 주요 장기의 침범 없는 경우
- NSAID : 발열, 두통, 근육통, 관절통, 관절염, 장막염
- 항말라리아제(hydroxychloroquine) : 피부발진, 피로감, 관절염
- Low dose glucocorticoids : 위 두약제에 반응이 없는 경우
- Methotrexate : 관절염 및 피부염
- Belimumab : 기존 치료에 반응이 없는 피부/관절 침범 SLE
■ severe(organ-threatening) SLE의 치료
● 주요장기의 침범
심장혈관 : 관상동맥염, 심근염, 심낭압전, 혈관염
폐 : 폐포출혈, 간질성 폐질환
신장 : 루푸스 신염
중추신경계: 뇌전증, 정신병, 척수염
혈액계 : 심한 혈구감소증, AIHA, TTP
|
- high dose glucocorticoids : 4-6주 투여후 tapering
- 면역억제제 : cyclophosphamide, MMF, azathioprine
IV. 임산부에서 SLE의 치료와 관리
■ 임산부에서 치료제 이용
- 합병증 과거력이 없고, aPL(+) → hydroxychloroquine + aspirin : 혈전/사산예방 치료
- 유산 및 사산과거력이 있고, aPL(+) → asprin + heparin
- 선택적으로 사용가능 : NSAID, steroids, azathioprine, cyclosporine
■ 항인지질항체증후군(antiphospholipid antibody syndrome, APS)
- 동맥및 정맥의 혈전증, 반복적 태아손실, 편두통, 혈소판 감소증 동반 가능 응고항진 질환
- anticardiolipin Ab, anti-β2 GPi Ab
- 혈전증 병력(+) → wafarin
- 태아손실 과거력(+) → 저분자 헤파린 + 저용량 아스피린
■ 신생아 루푸스(Neonatal lupus)
- anti-Ro/Ra Ab (+) 산모의 5% 이내에서 neonatal lupus 발생
- 자외선 노출후 피부 발진 발생, congenital heart block 관련.
V. 약물 유발 SLE (drug-induced lupus, DIL)
■ DIL 원인약제
■ 약물유발 SLE 양상
- 원인 약물을 장기간 복용시 발생함
- 발생연령이 50대, 남≒여 성비가 유사한 점에서 Idiopathic SLE 와 차이점이 존재함
- 증상: 발열, 관절통, 장막염 등 mild 한 경우가 많고 장기 침범은 덜한 편
- ANA(+), anti-histone Ab(+)
■ 약물유발 SLE 치료
- 원인약물의 중단
- NSAID, topical steroids, antiamarials 심할경우 oral steroids
'류마티스 | 알레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고요산혈증과 통풍(Gout) | 원인, 발병기전, 증상 단계 및 진단 방법 정리 (0) | 2025.02.25 |
---|---|
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제 DMARD와 biologic DMARD | NSAID (0) | 2025.02.15 |
류마티스 관절염의 증상 | 검사 | 진단기준 | 평가 | RA (0) | 2025.02.14 |
류마티스 관절염의 원인과 병태생리 | rheumatoid arthritis pathogenesis (0) | 2025.02.13 |
전신홍반루푸스 (SLE, Systemic Lupus Erythematosus) 면역학적 기전 | 병인 | 병리소견 | 원인 (0) | 2025.02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