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. 심부전의 정의와 원인
심부전은 심장의 기능적 이상 또는 구조직 이상으로 인해 심실의 혈액 박출의 이상(⇒수측능저하) 또는 충만의 이상(⇒이완능저하)이 발생하여 말초기관에 필요한 만큼 산소를 전달하지 못하고 여러 증상과 징후가 생기는 임상 증후군
☞ 구조적이상 ex) 심실의 비대, 심방의 비대
☞ 기능적이상 ex) 수축기능의 저하, 이완기능의 저하
■ 심부전의 원인
- 허혈성 심질환 (37.6%)
- 심근병증 (20.6%)
- 판막질환 (14.3%)
- 빈맥연관 (10.6%)
- 고혈압연관 (4.0%)
II. 심부전의 증상과 진단
■ 심부전의 증상


1) 폐울혈에 의한 증상
- 호흡곤란 (병에 진행에 따라 말기에는 휴식시 호흡곤란 발생)
- 기좌호흡 : 누워있으면 호흡곤란이 심해짐 , Paroxysmal nocturnal dyspnea(수면중 호흡곤란, 천명, 기침)
- 폐부종 : rales(HF의 진행속도 반영), 흉막삼출
2) 전신울혈 증상
- 우심부전에서 더 잘 나타나는 증상이나 심한 좌심부전에서도 발생함
- 말초부종, 울혈성간비대, 비장비대, 복수, 황달
3) 기타 증상
- 피로, 운동능력감소 by CO ↓
- GI symptom by RHF(간울혈, 장관벽부종)
- 우울증, 성기능장애...
■ 심부전의 진단과 검사

1) BNP
▶ 측정가능하다면 반드시 측정
▶ NT-proBNP < 125 또는 혈중 BNP < 35 이면 심부전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

2) 심전도
▶ 심전도가 정상일 경우 심부전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
▶ AF, Q wave 이상, LVH, QRS widening 같은 이상 소견은 심부전 가능성을 높인다
3) 일반 혈액검사
4) 심초음파 검사
▶ 반드시 시행해야함
▶ 만성심부전의 분류는 EF에 따라 분류되기 때문 & 심장의 구조와 기능 평가가 필요함
5) 흉부 방사선 촬영
▶ 호흡곤란의 다른 원인 (특히, 폐질환)을 감별하기 위해 시행
▶ 폐부종과 심비대를 확인가능

III. 심부전의 원인감별을 위한 검사

IV. 박출률 보존 심부전 (HFpEF)의 진단
■ HFpEF의 진단 기준
1) 심부전의 증상과 징후의 존재
2) 좌심실 박출률 > 50% 이상
3) 좌심실 이완기능의 이상/ 좌심실 충만압의 증가(BNP의 증가)에 부합하는 심장의 구조 or 기능 이상 증거 존재

■ HFpEF 심초음파검사에서 이완기능장애의 지표
- LA > 34mL/m2 (좌심방의 크기증가)
- E/e' > 9 (좌심실 충만압상승)
- LV mass > 115g/m2 (남성) / > 95g/m2(여성)
- PA systolic > 35mmHg (폐동맥 수축기 압력)
- rest TR velocity > 2.8 m/s (안정시 삼첨판막 역류속도)

'심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한성 심근병증 (Restrictive cardiomyopathy, RCMP)의 원인, 양상, 검사, 치료 | 교착성심낭염 (0) | 2025.02.02 |
---|---|
확장성 심근병증 (Dilated cardiomyopathy, DCMP)의 원인, 병태생리, 증상, 치료 (0) | 2025.01.31 |
비후성심근병증 청진소견과 심전도| HCMP 심잡음 | Apical HCM (0) | 2025.01.29 |
관상동맥 혈관 분지 | LAD branches (0) | 2024.12.03 |
좌심실비대(Left Ventricular hypertrophy)의 병태생리와 원인 | 고혈압 심장비대 (0) | 2024.11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