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Hypokalemia
■ 증상과 심전도 변화
정의 : K < 3.5
신경 근육 증상 : 마비, 근위약, 장폐색
ECG: T파 평탄화, U파 강조, QT 연장, ST depression
신장증상 : 다뇨, 다음 (ADH 반응저하)
glucose intolerance : insulin 분비 감소로 인함 (인슐린이 저칼륨 혈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감소함)
알칼로시스 : 저칼륨 혈증시 칼륨 소실로 인해 세포 내 → 세포 외 칼륨이온이동 → 보상적으로 세포 외 → 세포 내 수소이온이동으로 인해 alkalosis가 발생함
■ 저칼륨혈증의 감별진단
1) 세포내 칼륨의 이동
- alkalosis
- insulin
- β-agonist
2) 칼륨의 소실 증가
2-1) 신장외 손실
- Urine K+ < 15 : 위장관
산증 : 설사
알칼리증 : 구토
2-2) 신장으로 손실 (TTKG > 4)
- Urine K+ > 15: 신장 손실
- 산증: DKA, RTA (1형, 2형)
- DKA = HAGMA
- RTA I = NAGMA Collecting duct 산 분비 X, 요 pH > 5.5, 신석화 ↑, 치료: K+, HCO₃
- RTA II = NAGMA Proximal tubule HCO₃ 재흡수 X
- 알칼리증
- 고혈압 O
Primary aldosteron : 저레닌 - 고알도
Renal artery stenosis : 고레닌 - 고알도
Liddle syndrome : 저레닌 - 저알도 - 고혈압 X
Batter syndrome (loop diuretics) : 고칼슘뇨
Gitelman syndrome (Ca sparing diuretics) : 저칼슘뇨
- 고혈압 O
- 산증: DKA, RTA (1형, 2형)
2-3) 신장으로 손실 (TTKG < 2)
TTKG = (Urine K + / Plasma K +) / (Urine Osm / Plasma Osm)
TTKG가 4 초과일 경우 세뇨관 문제로 인한 칼륨 배출 증가
TTKG가 2 미만일 경우 삼투성 이뇨로 인한 flow 증가로 인한 칼륨 배출 증가임
저칼륨혈증의 치료 치료: Oral KCl or IV K + N/S
2025.06.09 - [신장 - 비뇨기계] - 신장 세뇨관 기능과 이뇨제의 기전과 부작용 | 선천 세뇨관 기능장애와 신세뇨관 산증(RTA)
신장 세뇨관 기능과 이뇨제의 기전과 부작용 | 선천 세뇨관 기능장애와 신세뇨관 산증(RTA)
I. 세뇨관 작용기전과 이뇨제 작용 부위1. 근위세뇨관 (Proximal Tubule)주요 작용Na⁺/H⁺ exchanger, Na⁺-HCO₃⁻ cotransporter가장 많은 양을 재흡수하는 곳 (70%) 가량포도탕, 인, 젖산, 아미노산등 여러 물
medhamstern.tistory.com
2. Hyperkalemia
■ 증상과 심전도 변화
정의 : K+ > 5.5
ECG: Tall T wave, sine wave(K > 8.0 이상)
고도 방실차단, 전도차단, 동서맥, 느린 심방세동
신경근육증상 : 사지마비
산증의 발생
■ 고칼륨혈증의 감별진단
1) 세포 외 칼륨의 이동
- acidosis
- glucagon
- β-antagonist
2) 신장의 칼륨 배설감소
2-1) 신부전
2-2) 저알도스테론
- 1차성 알도스테론감소
- 2차성 (예: 저 renin, ACEi, NSAID 등)
- K+ sparing diuretics
※ 가성 고칼륨 혈증
용혈, 근손상, 심한 혈구 증가증으로 인해 칼륨이 높게 측정됨.
■ 고칼륨 혈증의 치료전략
1) 심근 안정화 치료
- K+ > 6.5 or ECG 이상 시
- Calcium gluconate
2) 칼륨을 세포 내로 이동 (ECF to ICF)
- Insulin + 포도당 (glucose or DW5)
- Albuterol (beta 2 agonist) : 볼륨 과다인 환자에서 효과적
- Sodium bicarbonate : not routine
3) 체내에서 칼륨을 직접 제거함
- 이뇨제 : Loop, Thiazide diuretics
- 장관흡착 : Calcium polystyrene sulfonate (Kayexalate = Kalimate)
- 투석
'신장 - 비뇨기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저나트륨혈증(Hyponatremia)과 고나트륨혈증(Hypernatremia) 정리 (0) | 2025.06.09 |
---|---|
신장 세뇨관 기능과 이뇨제의 기전과 부작용 | 선천 세뇨관 기능장애와 신세뇨관 산증(RTA) (1) | 2025.06.09 |
급성 신부전의 정의, 신부전의 원인 감별지표와 치료 | AKI vs CKD (0) | 2025.06.02 |
NSAID 유발 부종 | 사구체 혈류조절 기전관련 부종 (0) | 2025.06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