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분비/당뇨

당뇨병의 급성 합병증 | DKA(당뇨병성 케톤산증), HHS(고삼투압성 고혈당상태)의 병태생리, 진단, 치료 | DKA vs HHS

medhamstern 2025. 1. 12. 14:46
반응형

I. 당뇨병의 합병증

급성
고혈당
DKA (당뇨병성 케톤산증)
HHS (고삼투압성 고혈당 상태)
저혈당
만성
미세혈관
안병증
신장병증
신경병증
대혈관
CHD(관상동맥심장질환)
CVD(뇌혈관질환)
PAD(말초동맥질환
감염성질환, 피부질환, 치주질환

당뇨병에는 다양한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다. 그 중 급성 고혈당 합병증DKA(당뇨병성 케톤산증)과 HHS(고삼투압성 고혈당 상태)이다.

II. DKA (당뇨병성 케톤산증, Diabetic ketoacidosis)

당뇨병성케톤산증(DKA)의 병태생리
당뇨병성 케톤산증의 병태생리

 

■ DKA 병태생리

- 인슐린의 절대적인 부족

- 상대적인 부족

- 글루카곤 같은 길항 호르몬의 증가

⇒ 해당작용의 억제

⇒ 포도당 신생합성증가

⇒ 글리코겐 분해 증가

⇒ 포도당 흡수 및 이용감소

☞ 고혈당

- 고혈당으로 인한 삼투성이뇨탈수, 전해질이상

- 지방분해의 증가케톤산증

⇒ 지방분해로 인한 유리지방산 증가

⇒ 유리지방산으로 인해 케톤체 형성

⇒ 고케톤혈증으로 인해 케톤산증 발생

■ DKA 임상양상

- 위장관 증상 : 오심, 구토, 갈증, 복통

- Kussmaul 호흡, 아세톤향

- 심할경우 기면과 혼수

■ DKA 유발인자 

(1st 인슐린양의 부족 , 2nd 인슐린 요구량의 증가)

- 부적절한 인슐린 투약 (흔함)

- 새로 발생한 당뇨

- 감염

- 심근경색, 뇌혈관질환, 급성폐색전증, 장간막 혈전증

- 쿠싱증후군, 갑상선기능항진증, 말단비대증

- 급성췌장염, 화상, 저체온증, 고체온증

- 약물: clozapine, olanzapine, Li+, 교감신경항진제, 스테로이드, 티아지드 이뇨제

■ DKA 진단

DKA와 HHS의 비교
DKA와 HHS

 

  • 250mg/dL 이상의 고혈당
  • ABGA : 대사성산증 (HAGMA, 고음이온차 대사성산증)
  • 소변 : 케톤산, 포도당
  • 저나트륨, 고칼륨or정상칼륨(실제로는 저칼륨), BUN/Cr비 상승(탈수)

■ DKA 치료

* 수액요법

1) 초기 수액요법: 0.9% NaCl을 1000mL/hr 속도로 1L 투입

2) 지속적 수액요법: 0.45% or 0.9% NaCL을 250-1000mL/hr 속도로 투여

(Corrected Na+ 상승/정상 0.45%, 떨어진경우 0.9% NaCl을 선택한다)

{혈당이 100mg/dL 상승할때마다 Na은 1.6mEq/L씩 감소함}

 
corrected Na ion

3) 안정적이고 소변량도 적절하다면 0.9% → 0.45% NaCl로 변경한다.

4) 혈당이 250mg/dL로 하락하면 5% glucose + 0.45% NaCl로 변경한다

* 인슐린투여

1) 초기 Regular insulin(속효성 인슐린)을 0.1 U/kg bolus 투여 (근육주사 : 0.3 U/kg)

2) 이후 0.1 U/kg/hr 속도로 지속적으로 인슐린을 정주

3) 혈당이 250mg/dL에 도달하면 인슐린 주입속도를 조절하여 혈당이 200-250을 유지하도록

(혈당 농도 200-250mg/dL 교정목표, 시간당 50-75mg/dL/hr 정도 감소되도록 조절)

4) 음이온차가 정상이 되거나, 산증이 교정될때까지 인슐린 정맥주사를 유지한다.

* 칼륨 보충

DKA에서 혈중 칼륨은 정상이여도 total 칼륨의 양이 부족한 경우가 대부분이다.

따라서 [K+ < 3.3 mEq/L라면 칼륨 교정전 인슐린투여 X]

(Why? 인슐린이 칼륨과 인을 세포내로 이동시킴 → 저칼륨혈증을 유도함)

- K+ < 5.3 mEq/L + 적절한 소변량 ⇒ KCl 투여

- K+ > 5.3 mEq/L ⇒ 칼륨 보충 X

* 중탄산염 치료

- pH < 7.0 : 중탄산염 투여

* 인 보충

- 혈청 인 농도 < 1mg/dL : 인 보충, 칼슘 감시 필요

III. HHS(고삼투압성 고혈당 상태, hyperglycemic hyperosmolar syndrome)

■ HHS 병태생리

- 상대적인 인슐린부족고혈당

- 불충분한 수분 섭취심한 탈수

■ HHS 양상

- 심한 고삼투압질 고혈당, Hypertonic hyponatermia

- 고령의 2형 당뇨환자에서 수분섭취의 감소, 다뇨, 체중감소 증상을 보이고 의식변화

- 오심, 구토, 복통, Kussmaul 호흡은 드물다

- 감염증과 같은 유발인자나 동반질환에 의해 악화or발병

■ HHS 진단

- 혈당 > 600mg/dL

- 혈청 삼투압 > 320mOsm/kg

- pH > 7.3

- 중탄산 > 15mEq/L

■ HHS 치료

* 수액요법

1) 초기 수액 요법: 0.9% NaCl

2) 이후 0.45% NaCl

3) 혈당 250mg/dL 까지 내려오면 5% glucose + 0.45%

* 인슐린투여

1) 초기 Regular insulin(속효성 인슐린)을 0.1 U/kg bolus 투여 (근육주사 : 0.3 U/kg)

2) 이후 0.1 U/kg/hr 속도로 지속적으로 인슐린을 정주

3) 혈당이 250mg/dL에 도달하면 인슐린 주입속도를 조절하여 혈당이 200-250을 유지하도록

(혈당 농도 200-250mg/dL 교정목표, 시간당 50-75mg/dL/hr 정도 감소되도록 조절)

4) 혈장 삼투압이 310mOsm/kg 이하 될때 까지 인슐린을 주입한다.

* HSS 유발인자의 교정

IV. DKA 와 HHS 비교하며 총정리

DKA
HHS
위장관증상(오심,구토,복통)
일반적으로 800mg/dL 이하 혈당
탈수증상 위주
심한 고혈당 (600mg/dL) 이상
고음이온차 대사성 산증, 소변케톤(+)
소변케톤(-)
Type I DM
젊은사람
New onset DM
Type II DM
고령
인슐린사용중단
감염증
치료받지 않은 당뇨
불충분한 수분섭취 또는 수분손실
감염, 수술, 출혈, 심뇌혈관 질환
치료는 유사함 (hydration + insulin)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