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. 비정상 자동능(abnormal automaticity)
■ abnormal automaticity 발생원리
- 정상적인 경우, SA node 세포를 제외한 심방과 심실 근육세포는 휴식기에 전기적 활동 X
- 비정상 자동능은 심근세포가 SA node 세포 처럼 휴식기에 스스로 탈분극을 하게되는 것
- 활동전위의 Phase 4의 기울기가 증가함

■ 비정상 자동능(abnormal automaticity) 부정맥
ex) Paroxysmal atrial tachycardia with block (PAT with block)

ex) Accelerated Junctional Rhythm (AJR)

ex) ectopic atrial tachycardia (EAT, AT)

II. 방아쇠 활동(Triggered activity)
■ Triggered activity 부정맥 발생원리
- 정상적인 심근세포는 자극 받은 대로 탈분극-재분극-안정막전위 유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짐
- 재분극 시작 이후 정상적으로 안정막전위 유지하지 못하고 세포외부 양이온에 의해 활동전위가 발생함
- 재분극이 시작된 이후 자극에 의해 발생한 후탈분극(after-depolarization)에 의한 활동전위
- triggered activity가 발생하는 타이밍에 따라 EAD vs DAD로 나뉨
■ Early after-depolarization(조기 후분극)

- 완전히 재분극이 일어나기전, 활동전위가 발생함
- Phase 2, Phase 3에 발생, L-type Ca channel의 개방으로 인해발생
- 약물(aconitine, quinidine) 관련 부정맥
- long QT 관련 부정맥
- Torsades de pointes(TdP) 부정맥
■ Delayed after-depolarization(지연 후분극)

- 완전히 재분극과정이 이루어진후, 막전위가 흔들리다가 활동전위가 발생함
- Phase 4에 발생하며, 세포내 Ca이온이 증가로 인해 발생
- 원인 : Digitoxicity, Catecholamine, 빠른 SA node
III. 회귀(reentry)
■ 회귀(reentry) 발생원리
- 생성된 전기신호가 소멸하지 않고, 장애물을 만나 우회하다 장애물 상부로 이동한후 맴돌게됨
- 전기신호가 전도성이 다른 두가지 경로를 만날때 발생함.(▶reentry 부정맥 알아보기)

■ 회귀(reentry) 관련 부정맥
◆ 성질이 다른 두전도로가 필요함
- Post MI VT (scar related VT) : 심근경색이후 반흔에 의해 발생
- WPW & AVRT : 부전도로와 정상전도로
- AVNRT : AV node내 빠른경로와 느린경로_(micro-reentry)
- Atrial flutter_(macro-reentry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