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. 골다공증의 치료
■ 생활습관
체중부하운동, 금연, 금주
■ Vitamin D
- 칼슘과 인의흡수 증가
- 25-OH D3 level : 30ng/mL
■ 칼슘
- 50세 이상 남성 또는 폐경이후 여성 : 800-1000mg/d 섭취 권장
■ 약물치료제의 분류
계열 | 약물종류 | |
골흡수 억제제 | Bisphosphonates (비스포스포네이트) |
- Alendronate - Risendronate - Ibandronate - Zoledronate |
SERM (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) |
- Raloxifene - Bazedoxifene |
|
HRT (호르몬 대체 요법) |
||
Denosumab | ||
골형성 촉진제 | Parathyroid hormone | - Teriparatide - Abaloparatide |
흡수억제 + 형성촉진 | Romosozumab | |
Strontium ranelate |
II. Bisphosphonates(비스포스포네이트)
■ bisphosphonates 작용기전
- osteoclast apotosis(파골세포 자멸사)를 통해 골흡수를 억제한다.
■ bisphosphonates의 효과 & 종류
- ibandronate는 고관절 골절예방에는 효과가 없다.
- 페경후 여성, 남성, 스테로이드 유발 골다공증의 치료에 이용한다
척추골절 | 비척추골절 | 고관절골절 | |
Alendronate | + | + | + |
Risendronate | + | + | + |
Ibandronate | + | +/? | - |
Zoledronate | + | + | + |
■ bisphosphonates 부작용
1) GERD(위식도역류)_경구제
2) Flulike reaction_주사제
3) Osteonecrosis of jaw
▶ ONJ(osteonecrosis of jaw)란?
- 치과 시술 이후 구강내 턱뼈가 8주이상 노출되어 있는 경우
- 턱뼈의 재생능력이 떨어져 상처가 아물지 않고 구강조직으로 덮이지 않는것
▶ONJ의 치료
- 즉시 비스포스포네이트 중단
- 칼슘과 Vit D 투약
- 골형성 촉진제(teriparatide) 투약
4) Atypical femur fracture
▶ 골흡수의 생리적 기능 억제로 인해 발생함.
골흡수의 생리적 기능은 미세골절부위를 수리하고 기계적 부하에 적응하게 한다. 과도한 골흡수 억제로 인해 골재형성 (bone remodeling)이 억제되어 뼈의 골질을 악화시킨다.
▶ atypical femur fx. (비정형골절)
- 장기간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를 이용한 환자들에게서 발생
- 골질악화로 인해 사소한 외상으로 발생하는 특이적 골절
- 뼈의 밀도는 높으나, 골질의 악화로 인해 쉽게 손상되는 상황
■ bisphosphonate drug holiday (약물 휴지기) 고려
- 고위험군이 아닌경우 3-5년동안 약제 사용후 휴지기
- 고위험군에서는 다른 치료제로 전환을 고려
(고위험군: 치료후 T-점수 -2.5이하, 과거 대퇴/척추골절력)
III. Estrogen 과 SERM 제제
◈ Estrogen (호르몬 대체 요법)
- 폐경후 여성에서 골밀도 3-5% 증진
- 장기간 치료시 골절 위험도 27% 감소
- 부작용: 뇌졸중, 정맥혈전색전 질환, 유방암, 자궁내막암 위험도 증가
- 골절 위험도가 높으며 다른 골다공증 치료가 부적절 한 경우 사용
◈ SERM(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)
- Estrogen 수용체에 결합하여, 뼈와 생식계에 작용함
- 뼈 : Agonstic effect → 골밀도증가, 골절위험도 감소
- 지방 : Agonistic effect → LDL 감소, 총콜레스테롤 감소
- 자궁, 유방 : Antagonistic effect → 호르몬 요법의 자궁내막암, 유방감 위험도 개선
■ 종류
- Raloxifene
> 폐경후 여성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제
→ 척추골절위험도 30-50% 정도 감소 (고관절, 비척추골절 효과X)
→ 부작용: 홍조, 심부정맥혈전증, 뇌졸중 위험도 증가
- Bazedoxifene
- Tamoxifene : 유방암 위험도를 낮추지만, 자궁내막암 위험도는 증가
IV. Denosumab (데노수맙)
■ 데노수맙 원리
- RANKL 사람 단클론 항체
- RANKL에 결합하여 파골세포의 분화, 생존을 억제하여 골흡수 억제
■ 데노수맙 사용
- 남여 모두 척추/고관절/비척추 골절 감소
- 6개월 간격 피하주사 - 간이나 신장 대사를 거치지 않음
-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달리 가역적임 → 대체 치료없이 중단시 rebound Fx.가능
V. 부갑상샘호르몬 골형성 촉진제
■ 종류
> Teriparatide, Abaloparatide
- 재조합 사람 부갑상샘 호르몬
■ 효과
- 척추골절, 비척추 골절 위험도 감소 (Hip Fx. X)
- 부작용: 동물실험에서 osteosarcoma 위험도 증가 발견
VI. Calcitonin
- 약간 anti-fracture agent, 골절후 통증감소 효과, 유럽에서는 사용 X
VII. Romosozumab
- Sclerostin 결합 단클론 항체
- Sclerostin 은 골형성 경로인 Wnt pathway를 억제하는 단백질임.
- osteoblast의 활동 활성 & 파골세포의 활동 감소 dual effect
- 피하 주사제
VIII. Strontium ranelate
- 골형성 촉진 & 골흡수 억제 모두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