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. 지질대사와 지단백(lipoprotein)의 구조와 종류
■ 지질(lipid)이란?
- 지질(lipid)은 소수성(hydrophobic)이라 물에 녹지 않아 혈액에서는 지단백(lipoprotein) 형태로 수송됨
1) 콜레스테롤(cholesterol)
- 세포막의 구성성분, steroid 호르몬과 담즙산의 전구체
- LDL의 형태로 주로 운반됨
- 식사로 인한 콜레스테롤의 농도변화는 크지 않음
2) 중성지방(Triglyceride)
- 에너지원으로 이용
- VLDL 또는 Chylomicron의 형태로 운반
- 식후 크게 증가하므로, 검사 시 금식 후 검사 필요함
3) 유리지방산 (Free fatty acid)
- 혈중지질의 2% 이하, 알부민을 통해 수송됨
- 산화되어 에너지원으로 이용
- 간으로 섭취될경우 TG(triglyceride) 또는 Phospholipid(인지질)의 합성재료로 이용
※ 지방조직에서 유리지방산이 동원되는 경우 (Lipolysis)
> 촉진 : catecholamine, Growth hormone, glucocorticoid, thyroid hormone
> 억제 : insulin, adenosine, PGE
■ 지단백(lipoprotein)의 구조와 종류
- 지단백은 지질을 말초조직으로 운반하고, 지질과 콜레스테롤의 재활용을 위해 간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
지단백의 종류 | 주요 구성 지질 | 아포단백(apolipoprotein) | 분비장소 | |
주요 구성 | 부 구성 | |||
Chylomicrons(CM) | 식이 섭취 TG | Apo B48 | Apo A Apo CII Apo E |
소장 |
VLDL | 내인성 TG | Apo B100 | Apo C Apo E |
간 |
IDL | 내인성 TG cholesteryl esters |
Apo B100 | Apo E | 간 |
LDL | cholesteryl esters | Apo B100 | 간 | |
HDL | cholesteryl esters | Apo AI | Apo C | 간과 소장 |
- Lipoprotein은 지질대사효소들과 결합하는 부분인 표면단백질인 아포단백(apolipoprotein)을 갖고 있음
- 지단백질은 밀도에 따라 Chylomicrons, VSDLS. intermediated-density lipoproteins(IDLs), LDL, HDL로 분류
- 중성지방(TG)가 많을수록 밀도는 낮음 (Chylomicrons, VLDL)
- 단백질 성분이 많을 수록 밀도는 높음 (HDL)
II. 지질 대사 과정
1) Chlyomicron
● 기능과 기전
- 섭취된 식이(외인성) 지방은 소장으로 흡수된 후 chylomicrons로 포장된다
- TG가 가장 많은 구성(90%), 소장 상피세포에서 분비됨
- Apo CII가 LPL(lipoprotein lipase)를 활성화하고 LPL 이 TG →FFA로 분해함.
- 근육과 지방조직으로 FFA(free fatty acid)를 운반함
- 남아 있는 chylomicron remnant(밀도상승) 간으로 이동함
● 임상적 활용
- 식이 지질을 운반하는 역할 → 식후 1시간 최고치, 식후 4시간 이후는 거의 존재하지 않음
- 금식후 Chylomicron이 존재할 경우 type I or type V 가족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의심 가능함
2) VLDL(very low density lipoprotein), IDL(intermediated density lipoprotein)
● VLDL의 생성과정
- 간(hepatocyte)에 생산한 내인성 TG(중성지방)
- 포도당의 해당작용 → DHAP 효소 → glycerol 합성
- 간에서 들어온 포도당의 TCA 회로 → Acetyl CoA → SER(매끈면소포체)에서 cholesterol 생합성
- 간세포 내에 Free fatty acid는 세포질에 존재함
- 골지체에서 조합되어 간에서인지질 또는 콜레스테롤 생성가능
● VLDL의 기능
- Apo CII이 LPL을 활성화 시켜 지방조직과 근육조직에 지방산 전달
- 이후 VLDL은 IDL로 전환
- VLDL 역시 Lipoprotein lipase(LPL)효소를 통해 말초조직으로 FFA 운반
- VLDL은 ILD로 전환됨
- IDL은 HDL과 상호작용을 통해 TG(중성지방)을 주고, Cholesterol을 받음
3) LDL(low density lipoprotein)
● LDL의 기능과 기전
- 주기능은 간에서 말초조직으로 콜레스테롤 수송(70% 콜레스테롤 수송에 관여함)
- 부신이나 고환같은 steroid 호르몬을 만드는 기관으로의 수송을 담당함
- LDL은 동맥벽에 침착될 수 있는데, 이는 동맥을 좁게 하여 관상동맥질환과 같은 혈관질환의 원인이 됨.
- smll dense LDL (phenotype B, more small & dense)가 죽상경화증과 관련이 큼
- 간의 LDL수용체가 Apo B100을 인식, LDL의 70-80%는 간세포의 LDL receptor에 의해 섭취됨
- hepatic LDL receptor pathway를 통한 혈장 LDL 농도 조절
4) HDL(high density lipoprotein)
주요 기능: Reverse cholesterol transport = 말초조직에서 간으로의 콜레스테롤 수송
1} HDL의 콜레스테롤 직접수거 및 수송
- 말초조직의 ABCA1( (ATP-binding cassette transporter A1) 같은 막 단백질을 통해 free cholesterol 수거
- 이후 LCAT(lecithin cholesterol transferase)의 작용을 통해 free cholesterol이 cholesterol ester로 전환
- 간세포의 SRB1 수용체와 결합하여 간세포로 콜레스테롤 이동
- HDL 입자는 재활용되어 다시 콜레스테롤 수거를 위해 이용됨
2} VLDL 또는 IDL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간접적 제거
- HDL은 CETP(콜레스테롤 에스터 전달 단백질을 통해 VLDL과 IDL과 상호작용
- 단백질을 제공하고, TG과 cholesterol esters를 가져가고 VLDL과 IDL은 LDL로 전환
- 전환된 LDL은 간의 LDLR(수용체)에 의해 간세포로 흡수
- 이후 콜레스테롤은 간에서 담즙산으로 전환하여 배출
★ HDL의 임상적 활용
- Atherosclerosis 의 anti - risk factor : 동맥벽의 콜레스테롤 침착 방지역할
- HDL감소의 원인: Insulin resistance 관련, 남성, 비만, 흡연, DM...
- HDL 20mg/dL 이하 + TG 400mg/dL이하는 유전질환 의심
5) Lipoprotein (a), Lp(a)
- thrombogenic, atherogenic과 연관성 높음
III. 아포단백(Apolipoprotein)의 종류
아포지단백종류 | 역할과 특징관련 | 지단백과 그기능 |
ApoAI | HDL-C의 주요 단백질, 말초조직에서 간으로 콜레스테롤 운반(RCT, reverse cholesterol transport) | HDL 가장 주된 구성 HDL-C: RCT에서 핵심역할 |
ApoAII | HDL의 구조적 성분, 세포 콜레스테롤 유출(cellular cholesterol efflux)에 관여 | HDL의 두번쨰로 주된 구성 hepatic lipase의 활성기능 |
ApoAIV | HDL과 연관, RCT에 영향, LPL 활성 촉진 | HDL: LPL 활성화 통해 중성지방 분해에 기여 |
ApoAV | HDL 및 중성지방 조절 | HDL: 혈장 TG 농도 조절에 중요한 역할 |
ApoB | 동맥경화성 지단백(VLDL, IDL, LDL)의 주요 단백질, LDL 수용체와 결합 | VLDL, IDL, LDL의 주요구성 LDLR 결합 통해 콜레스테롤 대사 조절 |
ApoCI | HDL과 VLDL 대사에서 ApoE 매개 수용체 결합 억제 | HDL, VLDL: ApoE 작용 억제로 지단백 대사 조절 |
ApoCII | VLDL 구성 성분, LPL 활성화 | VLDL: LPL 결합부위 제공, 효소 활성화 통해 중성지방 분해 |
ApoCIII | TG 대사의 주요 조절 인자, LPL 효소-지단백 상호작용 억제, CETP 촉진으로 RCT 관여 | VLDL, TG: 높은 ApoCIII 농도는 고TG혈증 및 VLDL 증가와 관련 |
ApoCIV | VLDL과 주로 연관, 지질 대사에서 역할 | VLDL: 지질 대사 조절 |
ApoE | TG 풍부 지단백(킬로미크론, VLDL)의 주요 단백질, 수용체(LDLR, LRP) 결합 통해 대사 | 킬로미크론, VLDL: 간 및 말초조직에서의 대사 조절 |
ApoH | LDL 산화 억제, 대식세포에서 콜레스테롤 유입 감소 및 유출 증가로 항동맥경화 작용 | LDL: 산화 방지 및 콜레스테롤 대사 지원 |
ApoM | HDL 입자와 연관, HDL 크기 및 기능 조절로 항동맥경화 작용 | HDL: 입자 조절 및 기능 향상 |
Lp(a) | LDL 입자에 Apo(a)가 결합된 지단백, 강력한 동맥경화성 특성으로 CVD 위험 증가 | LDL: LDL-C 수준과 독립적으로 심혈관 질환(CVD) 위험 요인 |
'내분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차성 부갑상샘항진증(Primary hyperparathyroidism)의 원인 , 증상, 검사 치료 | MENI, MENII (0) | 2025.01.17 |
---|---|
칼슘의 대사 | PTH(부갑상샘호르몬) | 비타민D | 칼시토닌의 기능과 조절 (0) | 2025.01.16 |
골다공증의 치료제 | Bisphosphonates | Denosumab | SERM | Romosozumab (0) | 2025.01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