심장

쇼크의 종류와 병태생리 | Distrubutive | Cardiogenic | Obstructive | Hypovolemic

medhamstern 2024. 11. 18. 11:00
반응형

I. 쇼크의 정의

세포의 산소 요구량과 공급량의 불일치로 인한 기관의 기능이상상태

cellular oxygen supply&demand imbalance → Organ dysfunction

 

- 순환장애로 인해 산소공급장애 (circulatory failure)

- 산소 소비량의 증가 (increased oxygen consumption)

- 산소 활용능 저하 (impaired oxygen utilization)

II. 쇼크의 종류

- Distributive shock

- Cardiogenic shock

- Obstructive shock

- Hypovolemic shock

 

III. Distributive shock

distributive shock

IIIa. Distributive shock 병태생리

SVR(전신혈관저항)의 감소 -> 보상적 CO(심박출량)의 증가

SVR의 감소 -> CVP(중심정맥압)감소 -> PCWP(폐모세혈관쐐기압)감소

 

전신혈관의 이완으로 인해 혈액이 말초에 잔류하여

CVP&PCWP가 떨어진다. 체내혈류량자체가 준것은 아니지만 정맥으로 돌아오는 혈액량이 줄어들고, 보상적으로 CO가 증가하는 것.

 

IIIb.  Distributive shock 원인

  • Septic shock
  • Pancreatitis
  • Severe burn
  • Anaphylactic shock
  • Neurogenic shock
  • Endocrine shock
  • Adrenal crisis

=> 감염/내분비/신경/외상등에 의하여 말초혈관의 tone을 잃어버린 경우들

 

IV. Cardiogenic shock

cardiogenic shock

IVa. Cardiogenic shock 병태생리

일차적인 심장의 문제로 인해 CO감소로 시작

CO감소 -> PCWP,CVP 증가

CO감소 -> SVR의증가

 

CO의 감소한다는 것은 심장외로 볼륨을 잘 짜주지 못해

좌심실내 혈액량 잔류로 인해 PCWP가 증가하고 CVP도 증가한다.

낮은 CO를 보상하기 위해 SVR은 올라간다.

 

IVb.  Distributive shock 원인

  • Myocardial infarction
  • Myocarditis
  • Arrhythmia
  • severe aortic valve insufficiency
  • severe mitral valve insufficiency

 

 

V. obstructive shock

obstructive shock

Va. obstructive shock 병태생리 & 원인

심장이 원인이 아닌 기계적 원인으로 인한 CO의 감소가 나타나는 경우

 

▶심장으로 들어가는 정맥환류량을 감소 -> CO의 감소가 나타나는 경우

  • Tension pneumothorax
  • Cardiac tamponade
  • restrictive pericarditis

▶심장에서 나가는 경로가 막힌경우

  • Pulmonary embolism (우심장)
  • Aortic dissection (좌심장)

 

VI. hypovolemic shock

hypovolemic shock

Va. hypovolemic shock 병태생리

체액량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 -> CVP의감소 -> PCWP의감소 -> CO의 감소 -> SVR의 보상적 증가

 

Vb. hypovolemic shock 종류

  • 출혈
  • 위장관 체액소실
  • 화상
  • 다뇨(요붕증,DKA)

 

*** 총정리 ***

쇼크에 따른 심도자술 결과

※ 심낭압전의 경우 PCWP가 증가한다.(삼출액에의한 압박)

※※ Neurogenic shock의 경우 교감신경기능상실로 인해 박출량과 svO2가 감소한다.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