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. 갑상선 결절
1) 결절 진단

결절(nodule)은 갑상선에 튀어나온 부분이 존재하는 것이고, 종(Goiter)은 전체적으로 갑상선이 커진 것이다.
Goiter 질환 : 하시모토갑상샘염, 그레이브스병, 단순갑상샘종, 비중독다결절갑상샘종
Nodule 질환 : 독성결절, 양성종양, 갑상선암
출처 입력
◈ 결절(nodule)의 진단 순서
1. TSH 검사 (독성결절 vs 양성종양,갑상선암)
2-A. 갑상선 SCAN → 열결절이면, 독성결절(toxic adenoma)
2-B. 갑상선 초음파 → FNA 적응증이라면 FNA시행
3. FNA 결과
- 악성(malignancy) → 초음파기반 림프절평가 + 수술
- 악성 의심(suspicious) → 초음파기반 림프절평가 + 수술
- Atypia(비정형) → FNA 재시행
- Non-diagnostic(낭성,섬유성병변) → FNA 재시행
- Follicular neoplasm → 진단적수술 or 분자검사 시행
2) 갑상선결절의 악성 RISK

갑상선결절의 악성 위험도는 병력, 초음파소견 등 여러 요소로 평가 된다.
■ 병력
● 갑상선암, MEN2의 가족력
● H&N 방사선 조사력
● 결절의 급격한 크기증가, 새롭게 발견
● 쉰목소리, 기도폐색, 연하곤란
● 남성환자, 20세 이하 or 65세 초과
■ 초음파 및 진찰소견(악성 > 양성)
● 단일결절 > 다결절
● 딱딱하고 불규칙 > 부드럽고 부드러운 표면
● 경부림프절의 촉지
● 결절의 크기 4cm↑ , 유착된 결절 > 작고 움직이는 결절
● 미세석회화소견, taller than wider (초음파 probe에 의해 잘안눌림)
● 냉결절(cold) > 열결절(hot)
■ 혈액검사
● 칼시토닌상승(수질암), thyroglobulin ↑ > 갑상선 자가항체의 검출
■ 레보티록신 치료에 반응 없음
3) 결절 치료
■ Benign Neoplasm : 흡인치료가능
■ Simple goiter : 미용목적, 기관압박해소 목적 수술적 제거 가능
■ Nontoxic multinodular goiter : 압박증성시 수술적 제거 가능
■ Toxic multinodular goiter: RAI
■ Hyperfunctioning solitary nodule : RAI
■ 악성 결절 : 하단 갑상선암 파트에서 정리
II. 갑상선암
◈ 갑상선암의 분류와 예후
세포 기원
|
암 종류
|
발병비율
|
예후
|
Folicular cell 기원
(well-differentiated) |
유두암
(papillary cancer) |
80-90 %
|
10년 90%
|
Folicular cell 기원
(well-differentiated) |
여포암
(follicular cancer) |
5-10 %
|
10년 70%
|
Folicular cell 기원
(undifferentiated) |
역형성암
(anaplastic carcinoma) |
1 % 미만
|
6-8개월내 사망
극히 불량 |
C cell 기원
|
수질암
(medullary carcinoma) |
10 % 미만
|
10년 65%
|
림프 세포 기원
|
악성림프종
|
1-2 %
|
5년 40-80%
|

1) 갑상선 유두암
■ 양상
- 갑상선암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고 가장 예후가 좋다, 여성이 2-3배더 잘발생함.
- 병리소견으로 Psammoma body, Orphan Annie's eye 관찰
- 림프절전이가 흔함, 혈행성전이(폐/뼈)
- FNA를 통한 세포 진단 가능
■ 고위험 위험인자(Risk factor)
- 40세이상, 남성, 전이 또는 주위조직침습, 4cm이상, 낮은 세포 분화도
■ 치료
- Near total thyroidectomy or Lobectomy(갑상선반절제술)
→ 수술이후 레보티록신 투여 : TSH 억제를 통해 재발률을 낮춤
- Total thyroidectomy(갑상전 전절제술) [ 4cm초과 or 전이/침범의 소견시 전절제 필수 ]
→ 수술이후 131I 치료 : 미세한갑상샘조직 제거 (전절제시 : Tg or 131I scan으로 추적검사가능)
→ 수술이후 레보티록신 투여 : TSH 억제를 통해 재발률을 낮춤

2) 갑상선 여포암, 소포암
■ 양상
- FNA로는 Follicular adenoma감별이 안됨 → 진단적 수술 필요함
- 혈행성전파(뼈,폐)
- 유두암보다는 예후가 안좋다.
■ 치료
- 유두암과 동일한 치료방법 (수술 → I131치료, Levothyroxine)
※참고: 131I Radioablation 치료 과정
환자가 1) 갑상선기능저하고 + 2) TSH가 크게상승(>80) 이어야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함
수술 이후 Levothyroxine중단 or Recombinant TSH제제을 이용해서 1),2) 조건을 만들고 시행함
3) 갑상선 속질암
■ 양상
- 가족형(20%, MEN2관련) 산발형(80%, RET관련)
- C세포 기원이라 혈청 칼시토닌을 통해 재발여부 or 수술후 잔여종양 확인
- 림프성 전파가 흔함.
- 갈색세포종 또는 부갑상샘기능 항진 동반시 MEN2 의심
■ 치료
- 갑상선 전절제술
- 필요시 항암 또는 방사선 요법 사용가능
- 131I(Radioiodine) 및 TSH억제치료는 효과가 없음
4) 역형성암
■ 양상
- 매우 분화도가 낮고 침습적이라 진단후 6개월내 사망 가능성 높음
- 급격히 자라는 특징이 있어 경부압박감, 쉰목소리, 호흡곤란, 삼킴장애 증상
■ 치료
- 국소절제술 + 방사선치료
- follicular 세포 기원이지만 분화도가 너무 낮아 131I RAI 치료에도 효과가 없다.
'내분비 > 갑상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갑상선 자가항체 정리 | 갑상선호르몬의 기능 (0) | 2024.12.14 |
---|---|
Thyrotoxic crisis(갑상샘중독위기)와 Thyrotoxic Periodic Paralysis(갑상샘중독주기마비) (4) | 2024.12.13 |
갑상선중독증(Thyrotoxicosis), 그레이브스병(Graves') 증상, 원인, 치료 (2) | 2024.12.06 |
갑상선기능저하증의 증상, 원인, 진단 알고리즘, 치료 (2) | 2024.12.01 |
임산부에서 갑상선기능저하와 갑상선기능항진 | 임신시 갑상선호르몬의 변 (1) | 2024.11.27 |